CEFR과 2022 개정교육과정의 변화: 영어 교육의 새로운 기준
2025년 9월 16일

안녕하세요, 영어교육에 관심 있는 여러분!
오늘은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CEF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EFR이란 무엇일까요?
CEFR은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의 줄임말로, 우리말로는 '유럽 언어 공통기준'이라고 합니다. 2000년 유럽평의회에서 채택된 이 기준은 외국어 교육의 새로운 지표로 자리 잡았습니다.
CEFR의 주요 특징
CEFR의 가장 큰 특징은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을 평가한다는 점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등 각 기능별로 평가
- 언어 사용자의 연령과 관심사를 고려
-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 실용적인 평가
2022 개정교육과정과 CEFR의 연계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는 CEFR을 평가 및 성취기준의 토대로 채택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 영어 공교육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실제 영어 사용 능력이 학교 수업과 평가의 핵심 기준이 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CEFR의 단계 구성
CEFR은 크게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Beginner (초급)
- Intermediate (중급)
- Advanced (고급)
이러한 단계별 구분을 통해 학습자의 수준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그레이프시드 공식 인스타그램을 참고해 주세요!
CEFR이란?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의 줄임말
‘유럽 언어 공통기준’이라는 뜻으로, 2000년 유럽평의회에서 채택된 외국어 교육 기준입니다.
듣기, 읽기와 쓰기, 말하기 기능 별로 사용자의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
언어 사용자의 연령, 관심사 및 필요에 맞춰 언어 기능별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 기준
CEFR의 단계
Beginner (~A2): 일상 생활 회화 가능 수준. 국내 영어 공교육
초등학교 과정 수준

Intermediate (~B2): 막힘없이 의사소통이 되고 대부분의 텍스트를 이해하며 서술 가능. 국내 영어 공교육
고등학교 과정 수준

Advanced (~C2): 거의 원어민 정도의 원활하고 유연성있는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대학 수준의 학문적인 글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

CEFR & 2022 개정교육과정
2022 개정교육과정의 평가 및 성취기준의 토대로 CEFR이 사용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영어 공교육현장에서 실제 영어 사용 능력이 학교 수업 및 평가 기준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입니다.
- 각 언어 기능별 평가보다 통합적인 의사소통 능력 강화
- 프로젝트형 수업에 적합한 통합적인 영어수업 가능
- 각 언어 기능별 수치화된 점수보다 실제 영어를 사용하여 학습자가 할 수 있는 것 중시
#CEFR #2022개정교육과정 #영어학습 #국제표준 #유럽언어평가 #글로벌영어 #교육혁신




